"어차피 돈 벌려고 만드는거, 그냥 흥행 성공 실패 대박 폭망 땅땅 나누면 객관적 수치로 정산 되잖아?"
....
라는 말에는 한 가지 한계점이 있다.
? 뭔 소리에요 그거.
그냥 돈 얼마 벌었다. 손익분기 넘었다 하면 성공. 그 아래면 실패 이거 아님? 뭔 한계?
이 영화로 예시를 들어보자.
순제작비 2억불. 흥행 6억불.
일반적으로 손익분기점이라 평해지는 '순제작비 X 2~2.5' 공식에 따르면, 손익분기를 넘기고 흥행한 영화가 맞다.
제작사도 그렇게 생각하겠지?
제작사:
성공은 뭔 성공이야. 전작들은 10억불 찍고 다녔는데 뭐 6억? 쳐망했네.
이건 추후 흥행할 동력까지 고갈된거야. 시리즈 샤타 내려!
....
이렇듯, 같은 흥행 성적이어도 제작사의 시선, IP파워와 이전작의 흥행으로 기대되던 기대 수치, 외부 요인으로 불어나는 제작비 등의 여러 이유로
'객관적인 흥행 성공 실패 유무' 를 내기 미묘한 부분들이 생기는 것.
최근의 아무 사례나 얘기해보자면...
- 2억 5천만불 흥행? 야 할리웃 블록버스터가 그거면 개꼴박 아님?
- 이거 예산이 7천만불 아래인데, 손익분기 훌쩍 넘었는데?
- 근데 1편이 3억불 넘겼고, 2편도 코시국 여파에도 3억불 근접했잖아. 지금 2억 5천이면 좀 아쉬운 수치 아닌가?
- 하지만 저때 시국이 코로나와 무관한 극장가 ㅆ불황인것도 있잖음?
- 영화 흥행에 그냥 불황 들이대면 뭔 의미임. 코시국같은 재해도 아닌데.
.....
라는 식의, 밑도 끝도 답도 없는 토론회가 열리게 되는 것이다.
사실 저 잣대로 따지면 최근의 베놈3도 의외로 점점 관객 반응이 싸늘해지는 시리즈임.
이외에도...
- 9억 5천만불이면 손익분기점 씹는 대박 흥행이지 ㅇㅇ
- 근데 이거 오프닝은 10억불 아작낼 수준이었는데 낙폭 쎄게 떨어진거잖아. 아쉬운거지 ㅇㅇ
....
라는 부류도 있고.
- 1억 5천 제작비에 4억불이면 선방했네 ㅇㅇ
- 근데 MCU 이름값에 4억불이면 망 아님?
- 넌 ㅅ발 코시국이 좇으로 보이냐? 샹치가 캐리해서 디즈니가 마블 영화들 극장에 단독으로 건거야.
....
같은, 재해적 상황에서의 사례도 있고
- 2억불 예산에 4억 3천만불이면 손익분기 애매하잖아? 거기에 전작이 10억불 오버인데 저 성적이면 폭망 아님?
- 근데 배우 억까에 제작사에게 내버려진 영화가, DCEU 영화들이 1~2억불 수준으로 미친 듯 꼴박할때 손익분기 논할 수준으로 올라온거면... 나름 선방한거지.
....
같은 경우 등... 여러 사례들이 있다는 것.
https://extmovie.com/movietalk/92603627
- 예산이 2억불에 4억 7천만불 정도라면 아슬아슬하게 손익분기인가...
- 근데 그거 실제로는 3억 8천만불 들어갔다던데?
- ???미친 새끼들인가?? 극장 손익분기점 한 8억 이상에 10억불 아님??
- 근데 2차 시장으로 결국 손해는 안 봤다고 함. ㅁ친 디즈니 놈들...
...
이라는, 읽기만 해도 골아픈 사례가 최근 드러난 건도 존재한다.
근데 저거 어떻게 손익분기 넘긴거냐 도대체...
...
또 최근에 핫하신 분처럼
- 이거 건동님이 7억불 갈 필요 없이 6억불이나 그 아래 수준이어도 괜찮다고 했음!
- 닌 그걸 믿냐 순제작비 2억불에 마케팅비만 추가로 2억불 갈아넣었는데ㅋㅋㅋㅋㅋ
...
하고, 개봉 전부터 손익분기점이 얼마냐에 대해 투닥거리는 상황도 잦음.
이러나 저러나, 흥행 수치라면 객관적이고 정형화된 평가를 낼 수 있을거야! 란 의견도 한계가 뚜렷한 것.
사실 대부분 손익분기점은 제작사 발표가 아닌 외부 매체들의 예상치란 점에서는 더더욱 그렇다.
(IP보기클릭)223.38.***.***
'원래대로라면 2편 안나와야 하는데 중국자본빨로 나온 경우'
(IP보기클릭)61.106.***.***
당장 평가는 좋은데도 손익분기점 못넘는 영화도 많고, 손익분기점은 엄청 넘었는데 영화 평가는 개판인 영화도 많고,
(IP보기클릭)112.175.***.***
보통은 회사 내부에서 목표치를 잡을테니, 그걸 넘으면 성공이고 못넘으면 실패인거지.
(IP보기클릭)112.219.***.***
이쯤되면 흥행 여부는 회사서 2편이 결정되냐 아니냐아닐까?
(IP보기클릭)112.175.***.***
보통은 회사 내부에서 목표치를 잡을테니, 그걸 넘으면 성공이고 못넘으면 실패인거지.
(IP보기클릭)61.106.***.***
당장 평가는 좋은데도 손익분기점 못넘는 영화도 많고, 손익분기점은 엄청 넘었는데 영화 평가는 개판인 영화도 많고,
(IP보기클릭)112.219.***.***
이쯤되면 흥행 여부는 회사서 2편이 결정되냐 아니냐아닐까?
(IP보기클릭)223.38.***.***
'원래대로라면 2편 안나와야 하는데 중국자본빨로 나온 경우' | 25.07.08 10:22 | | |
(IP보기클릭)220.122.***.***
베어링 돌아가는 기계공학 포.르노가 파워레인저가 되버렸어 | 25.07.08 10:40 | | |
(IP보기클릭)211.225.***.***
(IP보기클릭)220.71.***.***
이거 썰 들어보면 존나 골때리던데. 마베는 애새끼들 IP 영화 안만다는다는 거 스필버그가 설득해서 부득불 데려온 거고. 시리즈 이어갈때마다 찍기 싫은 티 팍팍 낸 거 뽕 뽑을 때까지 붙잡았다고 | 25.07.08 10:24 | | |
(IP보기클릭)220.71.***.***
(IP보기클릭)59.3.***.***
(IP보기클릭)220.71.***.***
악질인게 광고비를 제작비쪽으로 전환한다던가? 해서 실제 흥행수익 내려치기 한다음 개런티 적게준다더라 | 25.07.08 10:26 | | |
(IP보기클릭)118.235.***.***
(IP보기클릭)125.129.***.***
(IP보기클릭)121.141.***.***
흥행을 영화의 성공 기준으로 하기에는 영화별로 사정이 달라서 적절하지 않다는 내용이니까 맥락이 다름. 게임이라면 플레이스토어 인기순위 1위 게임은 반짝 마케팅에 돈을 꼬라박아서 적자고 200~300등에 있는 게임이 더 잘나가는 | 25.07.08 11:20 | | |
(IP보기클릭)121.141.***.***
상황과 같은 맥락임 | 25.07.08 11:21 | | |
(IP보기클릭)211.235.***.***
ㅇㅇ 진심으로 "와!! 드디어 우리가 이입할수있는 흑인/아시안 주인공이야!!" 하면서 감동받고 갓겜 갓작품으로 좋아하는 사람들이 없다고 단언 못하지 실제로 블랙팬서 관련 이야기들도 있고 | 25.07.08 12:09 | | |